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

동해안 최대 규모의 전통시장 포항 죽도시장 1. 포항 죽도시장의 특징 포항 죽도시장은 우리나라 동해안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시장이다. 포항 시내에 위치해 포항의 중심 상권을 형성하고 있는 전통시장이다. 주소는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도시장13길 13-1이다. 수산물시장과 농산물시장이 함께 있어 수산물과 농산물 등 다양한 물품들을 판매하고 있다. 싱싱한 활어들의 생명력 덕분에 이곳은 언제나 에너지가 솟구치고 활기가 넘친다. ‘없는 것 빼고는 다 있다’는 곳이 포항 죽도시장이다. 각종 활어를 비롯해 문어, 대게, 과메기까지 바다 내음을 물씬 느끼며 맛볼 수 있는 먹거리 천국이기도 하다. 또한 포항 죽도시장은 부지면적 약 14만 8,760㎡, 점포 수 약 1,200개에 달한다. 취급 품목은 수산물, 활어회, 건어물과 의류, 채소, 과일, 일용잡화로 도.. 2023. 3. 1.
'어서 오우야!' 영동의 중심 강릉 중앙시장 1. 강릉 중앙시장의 특징 강릉 중앙시장은 영동 지방의 중심, 강릉에 형성된 유서 깊은 전통 재래시장이다. 옛날 시장의 정취가 물씬 풍기는 2층 건물로 이루어진 강릉 중앙시장은 수산물과 생활에 필요한 갖가지 물품들을 거래하고 있다. 강원도 강릉시 금성로에 자리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이전부터 상설시장으로 유명해져 영동 지방의 수산물과 농작물의 집산지로 알려져 있다. 중앙시장이라고 등록해 있는 곳은 지하 1층, 지상 2층의 현대식 건물이다. 하지만 중앙시장 건물을 중심으로 한 주변 상가 일대를 모두 ‘강릉 중앙시장’이라고 일컫는다. 2. 강릉 중앙시장의 역사 조선시대에는 강릉 지역에 유명한 3개의 시장이 이었는데, 일제강점기를 겪으면서 교통의 변화와 인구 증가, 상권의 확장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또 다른 여.. 2023. 3. 1.
유서 깊은 전통 재래시장 보령중앙시장 1. 보령중앙시장의 특징 보령중앙시장은 대천장을 이어받은 유서 깊은 전통 재래시장으로 보부상이 주로 그 활동 무대로 삼았던 시장이다. 주소는 충청남도 보령시 중앙시장2길 9이다. 상설시장이 있고, 매월 3, 8일에는 정기시장이 열린다. 장날이 되면 시장 외곽에 노점이 넓게 펼쳐진다. 음식을 파는 거리, 과일 거리, 패션 거리, 건어물 및 제수 상품을 판매하는 거리 등으로 구역별로 나뉘어 있어 장보기에 매우 편리하다. 2. 보령중앙시장의 역사 조선시대, 보령 지역에 주로 거래되었던 물품은 어염을 포함한 다양한 농산물과 해산물 외에 모시, 청석과 오석이였다. 청석과 오석은 특히 이 지역의 특산물이자 과거 문인들이 많이 사용하던 것이었다. 청석은 벼루를 만드는 데 많은 양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주로 거래되는 특.. 2023. 3. 1.
먹거리 천국의 최고 재래시장 대구 서문시장 1. 대구 서문시장의 특징 대구 서문시장은 대구광역시 중구에 있는 대구에서 가장 규모가 큰 재래시장이다. 대구광역시 중구 큰장로26길 45에 있다. 구 서문시장은 조선 후기 삼남에서 가장 큰 시장이었고, 전국 3대 시장의 하나로 꼽혔다. 오늘날에도 포목이나 주단 등의 섬유 제품과 다양한 먹을거리를 중심으로 번영하는 대구의 대표적 전통시장이다. 2. 대구 서문시장의 역사 서문시장의 역사를 살펴보면 조선 중기부터 형성된 시장으로, 서문시장의 옛 이름은 ‘대구장’이었다. 대구장은 조선시대의 강경장, 평양장과 함께 전국 3대 시장 중 한 곳이었다. 원래 대구읍성 북문 밖에 자리 잡은 소규모 장이었지만,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거치면서 물자 조달의 필요성이 증대해지자 시장이 크게 발달하였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 2023. 2. 28.
한국 최대 규모의 축산물 도소매시장 마장축산물시장 1. 마장축산물시장의 특징 마장축산물시장은 단일 육류시장으로는 세계에서도 유례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큰 규모의 축산물 전문 재래시장이다. 서울특별시 성동구 마장동에 있다. 수도권 축산물 거래의 60~70%를 유통하고 있는 대표적인 축산물 전문 도소매 시장이다. 면적은 11만 6,150㎡이며, 총 3,000여 개의 점포로 이루어져 있다. 연간 이용객 수는 약 200만 명이며 종사자 수는 약 1만 2,000명에 달한다. 고기만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시장으로 육류만을 판매하는 대형 시장이다 보니 판매뿐 아니라 발골 등의 정육 작업까지 모두 한다. 마장축산물시장을 가보면 지역 전체가 정육점들이 빼곡히 모인 진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온갖 종류의 고기를 다 살 수 있으며, 한 마리당 얼마 나오지 않는 수준의 귀.. 2023. 2. 28.
한국 근현대를 함께한 부산국제시장 1. 부산국제시장의 특징 부산국제시장은 부산의 대표적인 전통시장 중 하나로, 해물과 야채, 과일 등을 판매하는 시장으로 유명하다. 주소는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 4가이다. 부산의 중심지에 있고 자갈치시장, 부평깡통시장과 함께 부산의 대표적인 전통시장으로 손꼽힌다. 국제시장은 6공구로 나누어져 각각 전문화된 물품들을 도소매하고 있다. 다양하게 특성화된 인근 시장들과 함께 거대한 상권을 형성하고 있다. 2. 부산국제시장의 역사 부산국제시장은 1978년에 개장했고, 그 이전에는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들이 이용하는 시장으로 사용되다가, 1945년 대한민국이 탄생하면서 일제의 지배에서 벗어나게 되면서 부산시의 대표적인 시장으로 거듭났다. 현재 부산국제시장은 전통적인 시장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처음에 국제.. 2023. 2. 24.
내륙지 최대의 수산물 도매시장 노량진 수산시장 1. 노량진 수산시장의 특징 노량진 수산시장은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에 있는 내륙지 최대의 수산물 도매시장이다. 주소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들로 688이다. 노량진 수산 시장은 우리나라 최대의 수산 시장으로 싱싱한 바다 먹거리가 가득하다. 바다에서 나는 수산물뿐만 아니라 먼바다에서 잡은 수산물도 많이 있으며 보통 시장에서는 야채도 팔고, 옷도 팔고, 과일도 팔고 생선도 팔지만 노량진 수산 시장에서는 오직 수산물만 판매한다. 노량진 수산시장은 서울특별시가 개설한 도매시장으로, 주력 사업은 생산자와 소비자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전국에서 위탁된 대량과 다종의 수산물을 공개경쟁 매매 또는 정가, 수의매매 등으로 판매하는 수탁판매(경매) 사업이다. 이외에도 주력사업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부대시설의 임대, .. 2023. 2. 24.
한국의 대표 한약재 시장 서울 약령시장 1. 서울 약령시장의 특징 서울 약령시장은 한국의 한약재 거래량의 약 70%를 점유하는 국내 최대의 한약재 전문시장이다. 흔히 경동시장(京東市場)이라 불리기도 한다. 주소는 서울 동대문구 약령중앙로 10이다.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기1동, 2동과 용두동 일대 약 23만 5,500제곱미터에 걸쳐 구역이 형성되어 있다. 서울에 있는 전통시장 중에서 면적이 가장 크다. 경동시장은 원래 한약재뿐만 아니라 과일, 고기 등 여러 가지 품목을 파는 청량리시장 일대를 총칭해서 부르는 성향이 크고, 한약재만을 말한다면 그중 일부인 서울 약령시를 말할 수 있다. 2. 서울 약령시장의 역사 경동시장은 서울의 동쪽에 있다고 해서 경동시장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경기도 북부와 강원도 등지에서 경원선, 경춘선, 중앙선 열차를 통해.. 2023. 2. 24.
서울 최대 농수산물 종합 유통시장 가락시장 1. 가락시장의 특징 가락시장은 서울특별시 송파구 가락동에 위치한 서울 최대 농수산물 종합 유통 도매시장이다. 1985년 6월 19일 개장하였다. 주소는 서울특별시 송파구 양재대로 932이다. 정식 명칭은 '가락동 농수산물 종합 도매시장'이지만, 약칭 '가락시장'으로 불린다. 서울 동남권 최대의 도매시장이라는 수식어에 걸맞게 전국 각지에서 생산한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을 집하해서 유통, 경매하거나 관리한다. 시장 내에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가 입주해 있고, 이곳에서 모든 관리를 총괄하고 있다. 특히 새롭게 오픈한 가락몰은 청과 · 수산 · 축산 · 건어 · 친환경 · 식자재 및 주방용품 등을 편리하게 한 번에 쇼핑할 수 있다. 또 방문객의 편리를 위해 도서관 · 쿠킹 스튜디오 · 컨벤션센터 · 식당 ·.. 2023. 2. 24.